기후위기와 전면적인 생명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생각과 생활을 바꾸고, 국민 속에서 대중과 함께 생명살림운동을 펼쳐 나가기 위한 실천방안
왜! 유기농태양광발전소인가?
어떻게 할 것인가?
농지법상 농지전환 제한 등으로 사업이 지연되고 있음 (현재는 염해농지만 가능)
땅심살림, 유기농산물 생산
자연재생에너지 생산
유기농태양광발전소운동의 이해와 필요성 확산
* 가짜뉴스, 이기적 반대에 대한 정확한 홍보/교육
유관기관, 지자체 등과 협의를 통해 유기농태양광발전소 시범설치
500평 규모, 70.4kw/h(시)(누적발전량 94,000kw/15개월)
→ 노지,하우스
- 잎채소(엽채류), 열매채소(과채류), 뿌리채소(근채류), 양념채소 등
* 아스팔트 주차장을 농경지로 바꿈
나무심기
국민 1인당 평생 목재소비량은 47.m3임 (50년생 잣나무 432그루를 심어야 하는 양)
50년간 나무가 자랄 경우, 한 그루의 나무에서 3,400만원에 해당하는 산소를 생산
3,900만원에 해당하는 물을 재생산하며, 6,700만원에 달하는 대기오염 물질을 제거함
* 큰나무 1그루(50년) = 4사람이 하루에 숨을 쉬는데 필요한 양의 산소 공급(산림청)
도시 숲 부유먼지(PM10) 25.6%, 미세먼지(PM2.5) 40.9% 저감하는 것으로 조사
무엇을 심을 것인가?
기후위기 대응과 경제적, 공익적 가치증진 수종 중심으로 식재
* 온실가스/미세먼지 흡수 수종, 약용 수종, 유실수 및 과수종, 생물연료(바이오매스)용 수종 등
구분 | 세부 수정 |
---|---|
온실가스 흡수 수종 | 산벚나무, 때죽나무, 사스레피나무, 오리나무, 참죽나무, 벽오동, 해송, 은행나무, 상수리나무,가죽나무, 까마귀쪽나무, 버즘나무 |
약용 수종 | 비자나무, 은행나무, 주목, 잣나무, 녹나무, 복사나무, 묏대추나무, 개나리, 가시오가피, 무화과나무 등 |
유실수 및 과수종 | 호두나무, 대추나무 , 밤나무, 감나무, 매실나무, 유자나무, 살구나무 , 복숭아나무, 모과나무, 개암나무 등 |
생물연료용 수종 | 백합나무, 리기테다소나무, 참나무류, 포플러류, 아카시아나무, 자작나무 등 |
어디에,어떻게 심을 것인가?
양삼심기
* 서아프리카, 인도 원산의 아욱과 1년생 초본식물로 성장속도가 빠름
(4개월 기준 열대 5~8m, 온대 3~6m 성장)
* 3대 섬유작물로 여겨질 만큼 여러 분야에서 활용, 국내 전 지역 재배가능
* CO² 흡수량이 상수리나무보다 최대 10배 높고 잎의 조단백질 함량이 34%로 소고기보다 높음
※ 출처 : 해여름농업회사법인, 케나프그룹, 환경부학    명 : Hibiscus cannabinus L(아욱과, 무궁화속)
보통명 : kenaf, 케나프, 양마(洋麻), 중국명; 홍마(洪麻)
원산지 : 서아프리카
서식지 : 온대지방에서부터 열대지방까지 생육
주요재배지 : 중국, 말레이시아, 인도, 미국 등
어떻게 할 것인가?
수입 육고기 줄이기
가축 : 지구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15% 차지
전세계 소 = 중국 + 미국 + 소 3위 온실가스 배출국
350kg 소 4마리 = 자동차 1대 온실가스량
거름 및 비료 역시 아산화질소 방출
당뇨, 뇌졸증, 암 발병 줄어 사망률 10% 감소
사료를 먹은 고기 섭취
곡물과 채식위주 건강식단으로 전환 중(미국.유럽)
왜 줄여야 하는가?
농림축산물 수입액
1인당 연간 고기 소비량
세계(34kg)<한국인(51.4kg)